안녕하세요? 제임스입니다. 아주 오래전 아래아 한글을 썼던 기억이 있습니다. 물론 아직도 사용이 되고 있지만, 어느덧 워드로 넘어갔다가 이젠 인터넷 상에서 직접 편집을 하고 문서 자료도 인터넷상에 있는 시대가 되었지요. 문서를 편집하면 저장할 공간이 필요한데, 이 저장 공간까지 제공하는 앱들이 많아졌습니다.
전 글쓰는 것이 좋아서 여러 편집용 툴을 썼는데, 주로 텍스트만 제공하는 것이 좋았었죠. 군더덕이가 없고 깔끔하게 텍스트만 있으면 좋았던 시절도 있었습니다. 그런데 이젠 세상이 더 빨리 편하여 정말 편집하기 좋은 툴을 제공하는 것들이 많이 나왔습니다. 제가 몇가지 정리해 보았어요. 물론 이것 말고도 많습니다.
문서 작성 툴 요약
도구 | 주요 특징 | 편집 기능 | 작성 속도 | 대용량 문서 처리 | 유료/무료 차이 | 종합 평가 |
구글 Keep | 메모 | 텍스트, 그림 저장 | 매우 빠름 | 부적합(긴문서 불편) | 완전 무료 | 메모용으로 적합 |
Simplenote | 가벼운 메모 앱 | 매우 낮음 (텍스트만 가능) | 매우 빠름 | 부적합 (긴 문서 불편) | 완전 무료 | 초안/메모용 |
Naver 메모 | 한국어 환경 최적화 | 낮음 (기초 수준만) | 빠름 | 부적합 | 무료 | 일상 메모용 |
Evernote | 노트+이미지+파일 지원 | 중 (서식, 체크리스트 등) | 중간 | 중간 (검색 강점) | 무료는 기능 제한 / 유료는 동기화 확장 | 아카이브/기록용 |
Google Docs | 워드 수준의 문서 작성 | 높음 (서식, 협업, 스타일링) | 빠름 (브라우저 성능에 따라 다름) | 우수 (100+ 페이지도 무리 없음) | 대부분 무료, 일부 Workspace 기능 유료 | 업무 문서용 추천 |
Notion | 블록 기반 작성 + 정리 | 중~높음 (다양한 콘텐츠 삽입) | 보통 (로딩 지연 있음) | 중간 (긴 문서 분할 권장) | 대부분 무료 / 팀용 유료 | 기획+문서 정리에 최적 |
Microsoft Word Online | 워드의 웹버전 | 높음 (표준 워드 편집) | 빠름 | 우수 | 무료 (기초 기능) / 유료는 Office 365 기능 전체 포함 | 정식 문서 작성용 |
Zoho Writer | MS Word 대안 클라우드 도구 | 높음 (스타일, 협업, PDF 출력) | 빠름 | 우수 | 무료로 대부분 가능 | 대체 워드로 우수 |
항목별 비교 설명
1. 문서 편집 기능
- 기본 텍스트만: Google Keep, Simplenote, Naver 메모
- 기초 서식 지원: Evernote
- 고급 편집 가능: Google Docs, Word Online, Zoho Writer
2. 작성 속도
- 빠름: Google Keep, Simplenote, Google Docs, Word Online, Zoho
- 약간 느림: Notion (블록 구조 특성상 로딩 있음)
3. 대용량 문서 처리 능력
- 약함: Simplenote, Naver 메모
- 중간: Notion, Evernote
- 우수: Google Docs, Word Online, Zoho Writer
4. 유료/무료 차이
도구 | 무료로 가능한 범위 | 유료로 가능한 기능 |
Google Docs | 대부분 가능 | Workspace 관리 도구 (기업용) |
Word Online | 기초 기능 가능 | 오프라인 편집, 더 많은 폰트/디자인 |
Notion | 대부분 가능 | 팀 단위 협업, 관리 기능 |
Evernote | 기기 동기화 제한 있음 | 무제한 동기화, 오프라인 지원 |
Zoho Writer | 거의 모든 기능 가능 | 기업용 관리 및 워크플로우 추가 |
추천 기준별 요약
목적/조건 | 추천 도구 |
초안/메모 | Simplenote, Naver 메모, Google Keep |
본격적인 글쓰기 | Google Docs, Zoho Writer |
정리 + 문서 작성 | Notion |
워드 스타일 문서 | Word Online |
기록/보관 중심 | Evernote |
자 지금까지 여러 불필요한 말씀만 드렸네요. 예전엔 Keep 오래 사용했고, 지금도 사용하고 있고요. Simplenote 얼마전까지 썼지만, 지금은 안쓰고 있고요. Naver 메모도 안쓰고 있습니다. 그럼 뭘 쓰고 있냐고요? Nortion입니다. 무조건 Nortion을 추천합니다.
Notion의 주요 장점
1. 글쓰기 + 정리 + 기획이 한 번에 가능
- 단순한 텍스트 입력을 넘어서, 표, 체크리스트, 이미지, 코드 블록, 캘린더 등 다양한 콘텐츠를 하나의 페이지에 자유롭게 삽입할 수 있습니다.
- 아이디어 메모부터 블로그 기획, 프로젝트 문서화까지 글을 쓰면서 동시에 정리할 수 있는 구조가 강점입니다.
2. 블록 기반 구조 – 문서의 논리적 흐름을 시각적으로 구성
- 문단 하나하나가 블록 단위로 구성되어 있어, 드래그만으로 문서 구조를 재배열할 수 있습니다.
- 하위 페이지, 폴더 구성이 가능해 복잡한 문서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3. 실시간 자동 저장 + 클라우드 동기화
- 웹, PC, 모바일 앱 모두 지원하며, 로그인만 하면 어디서든 같은 문서를 불러올 수 있습니다.
- 자동 저장되므로 문서 유실 걱정 없이 안정적으로 작업 가능합니다.
4. 협업 기능 탁월
- 특정 페이지에 공동 편집자를 초대해 실시간 공동 작업이 가능합니다.
- 댓글 기능, 변경 사항 히스토리 기능도 포함되어 있어 팀 프로젝트에 매우 유용합니다.
5. 템플릿 활용
- 회의록, 일지, 블로그 기획서, 업무 보고서 등 다양한 사전 구성된 템플릿이 제공되어 빠르게 시작할 수 있습니다.
- 자신만의 템플릿도 만들 수 있어 반복 업무 자동화에 강합니다.
6. 한글 호환성 우수
- 한글 입력 시 오류 없이 자연스럽고 안정적으로 작동합니다.
- 스타일이나 줄 간격도 한글에 잘 맞으며, 한글 기반 문서 정리에 적합합니다.
Notion의 단점 (주의할 점)
로딩 속도 | 페이지가 길어지거나 이미지, 표가 많아지면 로딩이 느려질 수 있습니다. 특히 모바일에서는 더 체감됩니다. |
긴 글 작성에는 불편 | 10,000자 이상 긴 글을 한 페이지에 쓸 경우 편집이 무겁고 느려질 수 있어, 장문은 여러 페이지로 나누는 것이 필요합니다. |
문서 인쇄/내보내기 기능 제한 | PDF로 내보내기는 가능하지만 서식이 깨지거나 페이지 구성이 망가질 수 있어, 정식 출력용 문서에는 부적합합니다. |
인터넷 연결 필요 | 오프라인에서도 일부 작업이 가능하지만, 기능이 제한적이며 기본적으로 클라우드 기반 도구입니다. |
학습 곡선 | 처음 사용할 때는 블록 구조와 페이지 시스템이 복잡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
Nortion은 초기 사용자는 쓰기가 어렵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그런데, 조금만 써보시면 별 것 아님을 금방 아실 수 있을 겁니다. 써보시길 강력히 추천합니다. 다음엔 Nortion 사용법을 설명드릴 기회가 있을 겁니다. 그